사랑과 연대, genuine
좋은 논문 주제란 무엇인가? 본문
Research Factory의 Youtube영상 중 유정주 교수님께서 타 의대 교수님께서 팁을 전수해주시는 발표를 정리했다.
주제 및 연구 세팅은 논문 게재 성공의 약 70%를 차지한다 언급하셨는데, 논문 Writing 실력, 분석방법 보다 더 중요한 것이다.
좋은 논문 주제란 이하와 같은 종류로 말할 수 있다.
1. 남들이 관심 있는 주제 (= publish가 잘 될 만한 주제)
2. 내가 관심있는 주제
3. 시니어 교수님이 주신 주제
1. "주요 저널 자주 읽기" 남들이 관심있는, 즉 publish가 잘 될만한 주제를 찾는 방법은
학회에 제출된 모든 제목을 훑어보자! 필요하다면 주제가 겹칠 수 있는 연관 학회를 참고해도 좋다.
내가 관심있는 "사회정책(사회복지)" 쪽에서의 주요 학회는 이하와 같다.
국내 주요 저널(학회)
major 국제 저널(학회) 1-2개 :
- Journal of Social Work (발행처 : Sage Publications Ltd / 발행년 : 2001)
- Social policy and society a journal of the Social Policy AssociationThis link opens in a new window
(저자 : Social Policy Association (Great Britain) / 발행처 : Cambridge University Press / 발행년 : 2002)
그외 참고자료
- 이화여대의 사회복지 연구자를 위한 저널 리스트 https://ewha.libguides.com/socialwelfare/journal
- RISS FRIC 외국학술지지원센터: 무료 원문 복사 신청 http://www.fric.kr/user/centerinfo/copyInfoView.do
2. 내가 관심 있는 주제
관심있는 연구주제를 설정할 때, 가장 어려운 점은 이미 동일한 연구가 있다는 점인데, 미리 좌절할 필요가 없다!
N수 (표본수) 가 다르거나, 연구군이 다르거나, Outcome, 시대/환경이 다르면 얼마든지 새로운 논문으로 만들 수 잇으니,
궁금하면 이것저것 고민하지 말고 실행하자! 실제 겪어야 성장한다 :)
'좋은 연구는 결국 모방에서 탄생한다'
맨땅에서 해딩하지 말고, 남들이 한 연구를 내가 새롭게 디벨롭하는 것.
My Review
1. 주제 및 연구세팅은 논문 게재 성공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다.
한 달 내로 주제를 확정하려고 했었는데, 성급한 일이다.
석사 1차 학기 동안, 많은 문헌을 읽으며 차분히 주제를 탐색하자.
(기초 연구 역량을 쌓고, Coswork에 적응도 하자 화이팅~)
2. 좋은 주제를 찾는 방법은
(1) 주요 저널 자주 확인해 잘 publish 되는 주제 탐색
(2) 관심 주제 논문 많이 읽고 차별점 고안
(3) 학과/지도교수님께서 주시는 주제도 도움 받기!
3. 다음 게시글로는 주요 저널에 대한 리뷰를 해야겠다.
어떠한 주제의 논문들이 게재되어 있는지 뿐만 아니라,
석사 Timeline을 짜는 데 도움이 될 "논문 투고 시기, 학술대회 일정"을 파악할 것이다.
'차근차근 학생 연구자 시작하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사회정책 저널/학술대회 일정정리 (1) | 2024.07.05 |
---|